카테고리 없음

교육공무직 맞춤형복지 배정점수와 사용 방법

myjing 2025. 3. 19. 14:12

교육공무직의 복지 중 하나인 맞춤형복지포인트. 매년 배정된 금액만큼 복지포인트를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데요. 교육공무직 맞춤형복지 배정점수와 사용 방법(카드청구, 영수증청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기준)

 

1. 맞춤형복지 대상자

맞춤형복지 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 교육공무직원

- 2025년 1월 1일 기준 계속근로기간이 1년 이상인 사람

- 소정근로시간 주 40시간 이상인 사람

 

여기서 계속근로기간 1년 이상인 사람이 중요한데요. 예를 들면 올해 2025년 1월 1일 맞춤형복지 대상자는 2023년 9월 입사자입니다. 2024년 3월 입사한 분들은 2025년 1월 기준으로 1년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2026년 1월 1일에 맞춤형복지포인트를 받으실 수 있어요. 그리고 교육공무직원(대체직 포함), 소정 근로시간이 주 40시간 이상인 사람에게 적용됩니다.

 

2. 2025년 맞춤형 복지비 배정점수

2025년 노조와 사측의 단협으로 기본점수가 150점 인상되었어요. 그래서 올해 기본 점수는 총800점이며, 격년으로 건강검진비점수 200점이 추가로 부여돼요. 올해는 홀수의 해기 때문에 생년이 홀수인 분들은 200점을 추가로 받아 총 1,000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점에 1만원입니다.)

 

대신 기본항목(단체보험)을 제외한 점수를  청구할 수 있는데요. 생명상해는 필수, 실비/수술비/대상포진진단비 등 선택할 수 있는 보험들의 점수는 제외돼요. 그리고 온누리상품권은 자율항목의 10% 점수가 따로 책정되는데, 온누리상품권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꿀팁을 알려드릴게요!

 

3. 자율항목 청구 방법 및 사용처

구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신청기한 3.18. 5.20. 6.17. 8.19. 9.19. 10.21. 12.2.
지급일 3월 말 5월 말 6월 말 8월 말 9월 말 10월 말 12월 말

 

자율항목이 본인이 쓴 금액을 포인트로 환산하여 현금으로 환급받는 뜻이에요. 맞춤형복지포털에서 카드를 등록하여 자동청구 또는 수동청구하여 받을 수도 있고 카드영수증으로 청구하여 받을 수도 있어요.

 

맞춤형복지포털 바로가기

 

맞춤형복지포털에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시면 복지점수 청구에서 사용카드를 등록하거나 변경하실 수 있어요. 일반카드의 경우 카드사는 삼성, 신한, 하나, 국민, 농협, BC 가능합니다. 저는 모르고 현대카드를 사용해서 영수증 청구를 이용했어요.

 

청구는 아래 카드청구, 영수증청구 방법이 있어요. 카드는 본인이 사용할 때 자동으로 청구할 수도 있고, 본인이 포인트로 환급받고싶은 내역만큼 선택하여 수동으로 청구할 수 있어요. 영수증은 카드영수증, 매출전표 등을 업로드하여 어떤 용도로 사용했는지, 금액은 얼마인지 입력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영수증 청구는 복지포인트 담당자가 승인을 해줘야 해요. 혹시 맞춤형복지를 처음 받는 사람이라면 복지포털에 가입 후 담당자에게 승인 요청도 해야합니다.

 

사용처는 음식점, 학원, 병원, 여행 등 일반적으로 카드 사용하는 곳은 모두 청구할 수 있다고 보면 돼요!

 

4. 맞춤형복지 온누리상품권 꿀팁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단체보험 빠지고 남은 자율항목의 10%는 온누리상품권으로 구매해야 하는데요. 2025년부터는 개인이 직접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인이 구매하지 않아도 각 학교 담당자들이 구매해서 주기도 하지만 할인된 금액으로 저렴하게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어서 개인 구매를 추천드려요!

온누리상품권은 온누리디지털로 구매시 15% 할인, 서울페이로 구매시 5~15% 할인받고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어요. 만약 복지포인트 70,000원이 온누리상품권으로 배정되었다면 온누리디지털, 서울페이 둘 중 마음에 드시는 곳에서 할인 받고 구매하시면 되고, 주의할 점은 70,000원 이상 구매해야하기 때문에 할인 범위를 잘 보고 70,000원 이상 실결제금액으로 결제하시면 됩니다.

 

저는 서울사랑광역상품권을 80,000원 구매했고 5% 할인받아서 실제 결제는 76,000원을 했어요. 그 중 70,000원은 복지포인트 온누리상품권 금액으로 영수증 청구했답니다.


저도 이번에 2025년부터 대상자라서 어떻게 복지포인트들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는데요. 처음엔 복잡했지만 알면 크게 어렵지 않으니 우리의 복지포인트를 잘 활용하면 생활비에 보탬이 될 수 있겠습니다^^.